Linux

1. Linux 설치와 기초 지식

공부중인학생 2023. 11. 25. 05:16

Windows나 macOS에서 기존 운영체제를 유지하며 Linux를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존재합니다. 

 

 

 

 

 

 

첫 번째 방법은 virtualization software인 VMware Player나 Oracle Virtual Box를 통해서 가상 머신을 만드는 방법으로 원래 운영체제를 유지하면서 Linux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AWS나 Google Cloud 서비스를 통해 가상 머신을 생성하고 Linux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또 다른 방법은 Linux의 배포판인 ubuntu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Virtual Box는 무료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Virtual Box는 기존 컴퓨터 기능을 확장하여 여러 운영체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기존에 Windows 운영체제를 설치했다면 하드웨어 계층 위에 Windows OS가 존재할 것입니다. 여기서 Oracle Virtual Box를 설치한다면 위 사진과 같이 별도의 작은 운영체제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Linux를 설치했다면 사용하기 전에 알아야 하는 몇 가지 중요한 내용들이 있습니다. Linux에서는 root라는 super user account가 존재합니다. 이 계정을 사용해서 시스템 구성 파일을 변경하거나 전체 운영체제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Linux는 대소문자를 구분하는 시스템으로 파일 경로등에서 대문자와 소문자를 잘 구분해야 합니다.  그리고 Windows와 다르게 공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생성할 때 공백 대신에 언더바(_)와 같은 다른 문자로 대체해야 합니다. 

 

Linux kernel은 운영체제 그 자체가 아닌 Linux OS에 내부에 존재하는 작은 소프트웨어로 사용자에게 명령을 받아 시스템 하드웨어나 주변 장치를 제어합니다. 그리고 Linux는 대부분 GUI가 아닌 CLI입니다. CLI는 Command Line Interface의 약자이고 GUI는 Graphic User Interface의 약자로 입니다.

 

Windows OS는 사용자가 보기 쉽게 모든 것이 GUI로 마우스를 통해 제어를 할 수 있지만 Linux의 경우 프롬프트로 표시되며 키보드만 사용하여 명령을 실행합니다. Windows의 경우 사용자 친화적이지만 Linux는 불편한 점이 많습니다. 하지만 Linux는 매우 유연한 OS로 다른 OS가 하지 못하는 작업들을 할 수 있어 개발자들에게 많이 선호됩니다.

 

 

 

Linux System에 access하는 방법은 콘솔을 통한 방법과 원격으로 접근하는 방법 이렇게 2가지가 존재합니다. console access의 경우 물리적인 콘솔 장치를 통한 direct access로 볼 수 있습니다.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같은 I/O Device가 케이블로 연결된 것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런 console access의 경우 물리적인 연결로 컴퓨터의 대부분의 기능에 접근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virtual machine의 경우에도 console access를 사용하여 Linux에 access 할 수 있습니다. 

 

기업에서 일을 할 때 대부분의 경우 Linux system에 원격으로 access 하게 됩니다. Windows system끼리 원격으로 access 하려면 다른 Windows system에서 연결을 원하는 컴퓨터의 IP 주소를 입력하면 됩니다. 하지만 Windows system에서 Linux system으로 연결을 원한다면 PuTTY라는 client가 있어야 합니다. 

 

ssh 192.168.0.1

 

Windows 10 이상에서는 자체적으로 SSH 내장 클라이언트가 있기 때문에 cmd에서 ssh 명령으로 원하는 Linux IP 주소를 입력하여 연결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