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강의에서는 선형독립(Independence), span, basis, 차원(Dimension)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열이 n개 이고 행이 m개 일 때 (n>m)인 행렬이 있다고 해보겠습니다. 이 행렬은 n이 m보다 크니 1개 이상의 free column이 존재할 것입니다. 그래서 free variable도 1개 이상 존재하게 되고 여기에 0이 아닌 임의의 값을 넣으면
Linear independence
선형독립이란 벡터들이 존재할 때 모든 계수가 0인 경우를 제외하고 선형 조합으로 0을 만들 수 없을 때 그 벡터들을 독립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Q1.

다음과 같이
-
Q2.

그럼 영벡터
모든 계수가 0이 아닌데 선형 조합으로 다른 벡터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종속입니다.
Q3.

3번째 사진은 2차원 벡터 공간에서 3개의 벡터들이 존재할 때 사진입니다. 종속일까요? 아니면 독립일까요?
- 해당 벡터들 중 2개의 선형 조합으로 2차원 벡터 공간을 전부 표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즉 나머지 한 개의 벡터가 두 개의 벡터의 선형 조합으로 표현되니 종속입니다.
종속인 경우
- null space가 x = 0 밖에 없다는 의미는 선형 조합으로
Span
span은 모든 선형 조합의 결과물을 모아둔 것을 의미합니다.
- 벡터들이 어떤 공간을 span한다 = 벡터들의 선형 조합으로 그 공간을 표현할 수 있다.
어떤 공간을 span하면서 독립적인 벡터들이 존재하는데 그 벡터들을 basis라고 부릅니다.
Basis
3차원 공간을 예시로 basis를 설명해 보겠습니다.
이 벡터들은 독립적이면서 선형 조합으로 3차원 공간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벡터들은 독립적이지만 span으로 3차원 공간을 표현할 수 없습니다.
- 두 벡터들의 span은 3차원 공간을 지나는 평면이다.
그럼 우리가 가지고 있는 벡터가 어떤 차원의 기저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 그 벡터들을 모아 행렬의 column vector로 만들고 가우스 소거를 통해 echelon form 행렬을 만들어서 pivot, 행렬의 rank를 확인해보면알 수 있습니다. (
Dimension
위에서 사용한 벡터들 중
이 벡터들은 3차원 공간에 존재하고 독립이지만
다음과 같은 행렬이 존재할 때 이 행렬의 column vecotor 들은 A의 column space를 span하지만 종속이기 때문에 column space의 기저 벡터가 될 수 없습니다.
- 실질적으로 공간을 만드는 pivot column이 2개밖에 존재하지 않음! free column들이 존재!
이제 A의 null space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free column들이 존재한다는 것은
이렇게 2개가 존재합니다. 이 두 벡터는 null space를 span할 수 있고 독립적인 벡터들입니다.
- null space의 기저 벡터들!
마지막으로 null space의 rank와 column space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행렬 A의 null space rank는 다음과 같이 column 개수 n개에서 pivot column을 뺀 것과 같습니다.
요약
- 벡터들이 존재할 때 선형결합으로 다른 벡터를 만들 수 있다면 선형종속입니다.
- 기저벡터는 독립적이고 공간을 span하는 벡터를 말합니다.
- 벡터들로 행렬을 만들어서 소거를 한 뒤 피벗 개수를 통해서 기저벡터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습니다.
- 선형종속인 행렬이 가역행렬이 될 수 없는 이유는 소거를 진행하면 항등행렬이 나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수학 > Gilbert Strang Linear Algeb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Matrix Spaces: Rank 1: Small World Graphs (0) | 2022.02.17 |
---|---|
10. The Four Fundamental Subspaces (0) | 2022.02.16 |
8. Solving Ax = b: Row Reduced Form R (0) | 2022.02.08 |
7. 선형방정식(Solving Ax = 0: Pivot Variables, Special Solutions) (0) | 2022.02.06 |
6. 열공간과 영공간(Column Space and Nullspace) (2) | 2022.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