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강의에서도 선형 방정식을 푸는 방법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이전 강의에서 사용한 matrix인데 다음과 같이 방정식으로 풀어뒀습니다. 1, 2행을 더하면 3행이 나오는 행렬입니다. 이 행렬의 솔루션이 존재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이 시스템에서 솔루션을 갖기 위해서는
만약
- 그 이유는 첫 번째 두 번째 식을 더 했을 때 세 번째 식이 나오니 우변을 보면
조건을 소거법으로 어떻게 발견하는지 알아봅시다.
다음과 같이 Augmentation matrix로 만들어 준 뒤 소거를 진행하면
중간 과정이 이렇게 되고 2번째 행을 3번째 행에 빼주면
전부 0이 돼버립니다. 마지막 방정식을 봐보면
b값들을 모아둬서 보면
미지수가 4개고 방정식이 3개지만 3번째 방정식은 없는 거나 마찬가지라서 이렇게 2개의 방정식으로 4개의 미지수를 풀어 봤습니다.
Solvability
여기서 말하는 해결 가능성(Solvability)은
어떤 방식으로 x를 찾아야 할까요?
1. 모든 자유 변수를 0으로 설정하고 푸는 것이 가장 편리한 방법입니다. (particular solution, 특수해)
- 그다음 피벗 변수에 대해
- 자유 변수가 0인 솔루션이 생기게 됩니다.
2.
이렇게
- b가 A의 span에 존재한다면 솔루션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상황에서
하지만
Rank
행렬에 m개의 행이 있고 r개의 피벗이 있을 때 이 둘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을까요?
- r은 m보다 항상 작거나 같습니다. m개 이상의 피벗을 가질 수 없습니다. (
) - n개의 열이 있을 때 n의 길이가 피벗을 정하는데 영향을 줍니다, 그렇기에 r은 n보다도 작거나 같습니다. (
) - r = n 이면 free column이 없습니다, 이 경우 null space 솔루션은 영벡터만 존재합니다.
- pivot column은 특정한 솔루션 차원에 존재하고 free column은 null space에 존재합니다.
다음과 같은 행렬이 존재할 때 피벗의 개수는 2개, 선형독립으로 null space에 영벡터만 존재합니다.
- r = m < n 일 때 소거된 행렬에서 남아있는 부분이 free column

- r = m = n 일때 소거된 행렬은 항등 행렬이 된다.

각각의 r, m, n 관계와 솔루션의 수

요약
- 소거법을 통해서
-
- 이때 두 해를 더하면서 null space가 특수해 만큼 이동을하여 원점을 포함하지 않게 되버리므로 완전해는 부분 공간으로 볼 수 없다. (부분 공간의 합으로 표현이 가능하지만 부분 공간이 아니다.)
- rank는 pivot보다 항상 크거나 같다, column도 pivot보다 항상 크거나 같다.
-
'수학 > Gilbert Strang Linear Algeb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The Four Fundamental Subspaces (0) | 2022.02.16 |
---|---|
9. Independence, Basis and Dimension (0) | 2022.02.11 |
7. 선형방정식(Solving Ax = 0: Pivot Variables, Special Solutions) (0) | 2022.02.06 |
6. 열공간과 영공간(Column Space and Nullspace) (2) | 2022.01.27 |
5. 전치행렬, 치환행렬, 벡터 공간(Transposes, Permutations, Spaces R^n) (0) | 2022.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