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는 대부분 high level language로 구현되어 있으며 OS가 포팅된 하드웨어와 무관하게 구현될 수 있지만 반대로 타겟 하드웨어 특성에 굉장히 민감한 부분도 존재합니다. 이 부분은 context switching을 담당하는 부분입니다. context switching은 CPU에 있는 레지스터들의 속성을 이용해서 조정하는 일들을 많이 진행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MMU라는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동작을 하는 Memory manageement 부분도 하드웨어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부분입니다. 그렇기에 하드웨어가 발전하게 되면 OS의 memory management 부분도 같이 변화해야 합니다. 페이징 매커니즘을 공부하면서 몇 가지 단점에 대해서도 알아봤습니다. 메모리 액세스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